안녕하세요. 초보머니파파입니다.
지난 글에서 우리가 '지출 리셋 루틴'을 통해 새는 돈을 막아보았다면,
이번엔 한발 더 나아가 '그 돈을 어떻게 쓸지' 계획하는 루틴, 바로 ‘월 예산 짜기’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해요.
예산 짜기라고 하면 어렵고 귀찮을 것 같지만, 머니파파 스타일답게 쉽고 실전적으로!
그리고 무엇보다 초보 부모, 사회 초년생, 자취생 누구나 따라 할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특히 “나는 딱히 과소비하지 않는데 왜 항상 통장이 비지?” 하고 생각한 적 있다면,
이 글이 아주 딱일 거예요. 오늘은 딱 3단계만 기억하세요. 이 구조만 있으면 예산 계획이 훨씬 명확해지고,
‘돈을 아끼는 삶’이 아니라 ‘돈을 잘 쓰는 삶’이 가능해집니다.
예산 짜기의 핵심! 누구나 따라 하는 3단계 구조
1단계. 수입과 고정 지출 파악하기
예산을 짜기 전에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내가 매달 정확히 얼마를 벌고, 그중에서 이미 빠져나가는 돈은 얼마인지 파악하는 거예요.
예를 들어 월급이 250만 원인데, 월세·보험·통신비·구독료로 이미 130만 원이 빠진다면
사실상 내가 자유롭게 쓸 수 있는 돈은 120만 원뿐이죠.
머니팁:
- 고정비 항목은 엑셀, 앱, 혹은 손으로라도 한번 쭉 정리해 보세요
- 매달 똑같이 나가는 돈이지만, 생각보다 ‘쓸 수 있는 돈’을 착각하는 경우가 많아요!
2단계. 예산 항목 나누기
이제 내가 사용할 수 있는 금액이 정해졌다면, 그걸 어디에 쓸지 미리 나눠두는 단계예요.
대표적인 예산 비율은 ‘50:30:20 법칙’이 있지만, 상황에 따라 조정해도 괜찮아요:
- 필수 지출: 60% (식비, 교통비, 공과금 등)
- 선택 지출: 20% (외식, 문화생활 등)
- 저축·투자: 20%
여기서 중요한 건 카테고리별 한도 설정! 예를 들어:
- 식비 35만 원
- 교통비 10만 원
- 외식/카페비 10만 원
- 기타 생활비 15만 원 이런 식으로 항목별 ‘최대 사용 금액’을 정해두면, 과소비를 방지할 수 있어요.
머니팁:
- 처음에는 예산 짜기보다 ‘내가 어디에 얼마나 쓰는지’ 보는 데만 집중해도 충분해요
- 소비 만족도 점검! “이번 달에 나를 가장 행복하게 만든 소비는 뭐였을까?”
3단계. 범위 설정 + 실행 루틴 만들기
계획만 세우고 끝이면 아무 소용없겠죠?
이제 실제로 그 예산 안에서 생활할 수 있는 방법을 만들어야 해요.
이 단계에서는 다음 세 가지 루틴을 만들면 좋아요:
- 저축 자동화: 월급날 저축·적금 먼저 빠져나가게 설정!
- 소비 추적 루틴: 가계부 앱이나 메모장으로 소비 흐름 체크
- 월말 점검 루틴: 매달 마지막 주에 한 달 예산 사용 정리 + 다음 달 계획 세우기
머니팁:
- ‘내가 지출을 통제할 수 있다’는 감각이 생기면 돈 쓸 때 훨씬 덜 스트레스받아요
- 중간 점검일을 정해서 “지금까지 예산 괜찮은가?” 보는 것도 좋아요
실생활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는 팁
- ✅ 고정지출부터 변동지출까지 모두 기록해 보기 (엑셀, 메모장, 가계부 앱 활용)
- ✅ 월급날 자동이체로 저축부터 설정해 놓기 (남은 돈으로 생활하는 습관 만들기)
- ✅ 외식비, 쇼핑비 등 월간 한도를 정하고, 중간 점검일을 잡기
- ✅ 소비 만족도 체크: 이번 달 가장 아깝지 않았던 소비는? 반대로 후회되는 소비는?
- ✅ 가족/배우자와 월간 소비 패턴을 공유하면 절약 동기 상승!
자주 묻는 질문들
Q. 월급이 적은데 예산 짜는 게 무슨 의미가 있나요?
→ 큰돈이 아니라 ‘습관’이 중요해요. 10만 원도 계획해서 쓰면 돈 감각이 달라집니다.
Q. 가계부 앱이 너무 어려워요. 꼭 써야 하나요?
→ 아니요! 손으로 써도 OK. 중요한 건 내가 직접 지출을 돌아보는 시간이 있다는 거예요.
Q. 봉투예산법은 너무 번거롭지 않나요?
→ 종이봉투가 아니어도 괜찮아요. 계좌 쪼개기, 카드 제한 설정 등 다양한 디지털 대안이 있어요!
Q. 매달 쓰는 돈이 달라서 예산 짜기 어려워요.
→ 그래서 ‘중간 점검’이 중요해요. 예산은 딱 맞추는 게 아니라 흐름을 읽는 데 목적이 있어요.

추가 참고: [지출 리셋 루틴 만들기]와 [고정지출 체크리스트] 글을 함께 읽으면 훨씬 수월하게 따라올 수 있어요!
예산 짜기는 단순히 돈을 아끼는 게 아니라, ‘내가 원하는 삶을 설계하는 습관’이에요.
저는 사실 가장 문제가 내가 정리가 되어있고, 계획이 되어있으면 돈을 쓰는데 불안하지가 않은데,
정리되어있지 않는 동안 맹목적으로 아끼고 노력했는데도 계속 텅 비어 있는 잔고가 나를 불안하게 하고
언제 또 어디에 돈이 들어갈지 모르는데 하면서 스트레스받게 되고, 또 돈을 버는 경제 활동도 지치더라고요.
수입과 고정비를 정확히 알고,
항목별로 한도를 정해두고, 그 예산 안에서 살아가는 루틴을 만들면
이번 달도, 다음 달도 훨씬 여유 있는 통장을 만들 수 있어요. 우리 함께 ‘쓴 돈이 아깝지 않은 삶’, 시작해 봐요
'돈 관리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월급만으로도 가능한 저축 루틴! 자동으로 돈이 모이는 시스템 만들기” (2) | 2025.04.08 |
---|---|
“후회 없는 소비의 기준? 기분 좋게 남는 의미 있는 소비 루틴” (2) | 2025.04.08 |
“예산은 짰는데 자꾸 초과돼요? 생활비 한도 루틴으로 지켜보세요” (0) | 2025.04.08 |
“돈 새는 습관, 지출 리셋 루틴으로 한 번에 잡는 법” (5) | 2025.04.07 |
“월급날마다 빠져나가는 고정 지출, 우리 집 체크리스트로 점검해보세요” (1)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