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주식 뉴스 보다 보면 꼭 등장하는 단어 있죠. 바로 공매도!
“아니, 주식도 안 샀는데 팔 수 있다고?” “공매도 때문에 주가가 빠졌대!”
왠지 나쁜 놈(?)처럼 느껴지는 이 공매도, 도대체 뭘까요?
오늘은 공매도를 아주 쉽게, 재밌게! 알려드릴게요.
그리고 진짜 공매도가 주가를 끌어내리는 건지도 함께 알아보죠.
1. 공매도, 도대체 뭔가요?
공매도란 ‘없는 주식을 빌려서 파는 것’을 말해요.
“없는데 어떻게 팔아?” 싶겠지만, 실제로는 증권사나 기관에게 주식을 빌려서 먼저 시장에 팝니다.
그리고 나중에 주가가 떨어지면 싸게 사서 갚고, 차익을 먹는 구조예요.
예를 들어 볼게요:
- A 주식이 현재 10만 원
- 나는 A 주식을 100주 빌려서 판다 → 1,000만 원 확보
- 며칠 뒤 A 주식이 8만 원으로 하락
- 100주를 800만 원에 다시 사서 갚는다
- 200만 원 이익! 이게 바로 공매도 수익 구조예요.
이 과정에서 주식은 실제로 내 소유가 아니고,
떨어질 거라는 예상 하에 미리 파는 행위입니다.
2. 공매도, 왜 이렇게 욕먹을까?
✔️ 주가 하락을 유도한다고 느껴지기 때문 → 공매도 세력이 주식을 대량으로 팔면, 수요·공급 원리에 따라 주가가 떨어질 수밖에 없어요.
✔️ 개미투자자와의 정보 격차 → 기관·외국인만 공매도를 할 수 있었고, 일반 투자자는 상대적으로 정보가 부족해요. (저도 모를 땐 욕이 나왔어요)
✔️ 실제로 시장 충격이 컸던 사례도 존재
📉 2020년 초, 코로나로 코스피 폭락 당시 공매도가 과도하게 이뤄지면서 추가 하락 유발 정부는 이때 한시적으로 공매도 금지 조치를 내리기도 했습니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공매도 = 주가 하락의 주범이라는 인식을 갖게 된 거죠.
3. 그런데 공매도가 꼭 나쁜 건가요?
꼭 그렇지만은 않아요. 공매도는 시장에 나름의 역할도 하고 있거든요.
✔️ 과열된 주가 조정 → 거품 낀 주식을 걸러주는 역할. (ex. 실적 없는 테마주)
✔️ 유동성 확대 → 거래량이 늘어나면서 시장의 효율성이 증가
✔️ 양방향 투자전략 가능 → 오르는 주식뿐 아니라 떨어지는 주식에도 베팅 가능 (리스크 분산)
즉, 공매도 자체가 문제라기보다 투명성, 제도적 감시 부족이 문제라는 시선도 많습니다.
4. 공매도, 진짜 주가를 끌어내릴까? 실전 사례 보자
🧪 실전 사례 ①: 카카오페이 상장 후 급락
- 공매도 거래량 급증 → 개인투자자들 매수세 눌림
- 주가가 하락하자 “공매도 탓이다”는 반응 나옴
🧪 실전 사례 ②: 셀트리온 공매도 논란 (제가 손해 봤던 곳이죠 ㅋㅋ)
- 외국인 기관이 지속적으로 공매도 → 주가 하락세 장기화
- 투자자들 “이건 시장 교란 행위”라며 비판
하지만 공매도만의 영향은 아니에요.
실적 부진, 기업 이슈 등도 함께 작용한 거라 공매도 = 주가 폭락 공식은 과장된 면도 있습니다.
5. 공매도, 지금은 어떻게 되고 있나?
✔️ 2024년 11월부터 공매도 전면 금지 조치 시행 중 (2025년 6월 현재까지 유지) ✔️ 정부는 “불법 공매도 근절 전까지는 허용 어렵다”고 밝힘 ✔️ 제도 개선 방향: 개미도 공매도 참여 가능하게, 투명한 공시 강화
이처럼 공매도는 지금도 뜨거운 논쟁의 중심에 있어요.
6. 같이 읽어보면 좋은 글
암호화폐 시장, 지금 들어가도 될까?
안녕하세요! 😊요즘 주변에서 이런 말 많이 들리죠. “비트코인이 또 올랐다더라.” “암호화폐 시장 다시 살아나는 거 아니야?”그런데 막상 내가 들어가려니 겁도 나고, 타이밍도 모르겠고…
homeeconlab.tistory.com
긱 이코노미 시대, 부업이 아닌 생존이 된다고?
안녕하세요! 초보머니파파입니다.😊요즘 이런 말 자주 들리지 않나요? “요즘 다 투잡 뛰어.” “배달이라도 해야 하나…”이제는 부업이 아니라 생존을 위한 수단이 된 시대, 바로 긱 이코노
homeeconlab.tistory.com
콘텐츠 수출, 이게 수출 1위라고?
안녕하세요! 초보머니파파입니다.😊요즘 뉴스 보다 보면, 전자제품이나 자동차 얘기보다 콘텐츠 수출이 더 많이 나오는 것 같지 않나요?“드라마 수출이 자동차 수출보다 많다고?” “웹툰이
homeeconlab.tistory.com
7. 마무리하며|공매도, 알고 보면 덜 무섭다
공매도, 이름은 어렵고 느낌은 나쁘지만, 사실 알고 보면 하나의 투자 방식일 뿐이에요.
문제는 ‘투명하지 않게 쓰일 때’ 생기고, 우리 같은 개인 투자자가 잘 모르고 당할 때 더 커지는 거죠.
그래서 더더욱, 공매도를 이해하고 감시하고 대응할 수 있어야 해요. 오늘 이 글이 여러분의 정보 루틴에 작은 힌트가 되었길 바랍니다. 즐거운 하루 되세요안녕하세요! 😊
'경제 뉴스 쉽게 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하반기 주식시장 전망, 초보가 조심해야 할 3가지 (0) | 2025.05.24 |
---|---|
콘텐츠 수출, 이게 수출 1위라고? (4) | 2025.05.20 |
긱 이코노미 시대, 부업이 아닌 생존이 된다고? (4) | 2025.05.19 |
디지털화폐, 암호화폐랑 뭐가 다를까? (4) | 2025.05.15 |
암호화폐 시장, 지금 들어가도 될까? (6) | 2025.05.14 |